본문 바로가기
명리학(이론)/합,충,형

지장간 암합(暗合)의 이해와 활용

by bb명랑 2024. 12. 2.

 

사주 명리에서 지장간 암합(暗合)은 중요한 해석 요소로, 땅속에 숨겨진 기운이 합을 이루는 독특한 현상을 말합니다. 천간합이 직업적 활동, 사회적 활동, 공적인 활동을 의미한다면 암합은 지상에 드러난 천간 합과 달리 공적인 활동 이외에 개인적 활동, 가족적 활동, 비공식 활동으로 천간에 비하여 비밀스럽게 보이기도 하며, 때로는 드러나지 않은 인연과 관계를 의미합니다.

 

지장간 암합의 기본 개념

지장간은 지지(地支) 속에 숨어 있는 천간의 기운입니다. 이 지장간은 특정 조건에서 합을 이루게 되는데, 이를 암합이라고 합니다. 암합은 천간 합과 비슷한 원리로 작동하지만,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천간 합의 종류

  • 갑기합(甲己合)
  • 을경합(乙庚合)
  • 병신합(丙辛合)
  • 정임합(丁壬合)
  • 무계합(戊癸合)

암합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지지에 숨어 있는 천간의 기운이 다른 천간의 글자와 합을 하는데 '천간과 지지 사이의 암합'과 '지지와 지지 사이의 암합'이 있습니다.

 

암합의 해석

암합은 합화되는 새로운 오행의 기운이나 십성, 육친으로 해석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무계합이 화로 된다고 해서 이를 화에 해당하는 십성이나 육친으로 해석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암합은 주로 사람들 사이의 숨겨진 관계나 감춰진 사건을 상징합니다. 암합의 구체적인 의미와 결과는 해당 지장간이 연결된 십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관성과 암합이 이루어지면 남성과 관련된 비밀스러운 관계나 연애, 혹은 결혼 문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재성과 암합이 이루어지면 숨겨진 재물이나 금전 관계를 암시하며, 식상과 암합이 이루어질 경우 창의적인 활동이나 비밀스러운 프로젝트와 같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암합은 십성의 특성과 연관지어 해석하며,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관계와 사건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천간과 지지 사이의 암합 

천간의 글자와 지지 글자의 지장간이 합을 하는 것이 천간과 지지 사이의 암합입니다. 

  • 무자합(戊子)
  • 정해합(丁亥)
  • 임오합(壬午)
  • 신사합(辛巳)

천간의 무토(戊)자수(子)는 암합을 하는데, 자수의 지장간에는 임수(壬)와 계수(癸)가 있어서 천간의 무토와 지장간의 계수가 합을 합니다. 즉 드러나지 않지만 무계합이 된 것입니다.

 

무자합

 

 

동일한 원리로 정해합, 임오합, 신사합도 동일한 원리이며 다음과 같습니다.

정해합
임오합
신사합

무자합, 정해합, 임오합, 신사합 모두 지장간의 정기에 해당하는 글자와 천간의 글자가 합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지와 지지 사이의 암합

다음의 대표적인 암합으로 지장간의 정기간의 합이 되는 글자들입니다.

  • 자술합(子戌)
  • 축인합(丑寅)
  • 묘신합(卯申)
  • 인미합(寅未)
  • 오해합(午亥)

지장간에서는 정기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이 다섯 가지가 지지와 지지 사이의 암합을 대표하고 있습니다.

지장간의 글자들의 조합을 살펴보면 암합이 되는 여러 경우들이 이것들 말고도 많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축인합은 지장간의 세 글자 모두 합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그리고 자술합과 오해합은 두 글자가 합을 하고 있습니다.

오해, 자술 이외에 축사, 축해, 진사, 진신, 미신, 미해도 두 글자가 합을 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 한 글자가 합이 되는 경우는 또한 무려 34가지입니다.

 

이 많은 암합의 경우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막막하다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명리학은 음양오행의 움직이는 기운을 해석하는 학문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어떤 경우는 암합이고 어떤 경우는 암합이 아니라고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대신, 단순히 다섯 가지 천간합을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지장간의 글자들을 보고 여기, 중기, 정기를 구분하고, 합의 여부를 살펴본다면 두 지지 간 암합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지 간 암합에 대해 "붙어 있는 경우 인정하고, 떨어져 있는 원합의 경우 암합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논리도 인간의 기준에 따라 구분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명리학은 경계가 분명한 학문이 아니라, 서로 다른 색이 그라데이션처럼 자연스럽게 섞여드는 흐름을 이해하는 학문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암합은 사주 풀이에서 비교적 중요도가 낮은 편에 속합니다. 암합에 집중하기 전에 살펴봐야 할 것들이 많습니다. 음양오행의 조화와 십성, 육친의 관계를 보고, 12운성의 기운과 합, 충, 형, 신살 등을 먼저 분석해야 합니다. 여기에 대운과 세운의 흐름을 더해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다 보면 암합은 상대적으로 후순위로 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암합이 주로 활용되는 경우는 남녀 관계나 궁합을 볼 때입니다.
예를 들어, 남자의 일지가 인목(寅木)이고 여자의 일지가 축토(丑土)라면, 지장간의 세 글자가 모두 합이 되므로 궁합이 좋아지는 요소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암합은 바람이나 은밀한 애정 관계를 살피는 데도 사용됩니다.

그러나 암합 해석은 여기에서 멈추지 말아야 합니다. 암합 되는 십성의 특징을 살펴, 그 관계가 나타내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명리학(이론) > 합,충,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지지 충(沖)  (1) 2025.01.02
육합 - 두 지지합  (0) 2024.10.20
천간 합  (4) 2024.10.16
합(合), 충(沖), 형(刑)의 분류  (0) 2024.08.16
충(沖)  (0)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