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학(이론)/12 지지(地支)28

축(丑)토 3편 축토(丑)의 경우는 자(子)에서 왔고 인(寅)으로 간다. 계절로는 1월이 되면서 겨울에서 봄으로 이어주는 환절기가 된다. 굉장히 춥고 뭔가 바들바들 시리고 활동성이 위축이 되어 있는 공간이 된다. 시간으로는 새벽 1시30분에서 3시30분까지의 시간으로 인(寅)시에 해가 뜨는데 해가 뜨기 바로전의 어두운 공간이 축토의 시간이고 공간이 된다. 깜깜하니깐 눈에 보이지 않고 뭔가 잡히지 않고 상황이 드러나지 않아서 상황적으로 밤이고 어둡고 춥고 시리다 이렇게 접근을 하면 된다. 축토는 삼합으로 사유축 운동을 하고, 지장간으로는 癸, 辛, 己가 있다. 사유축은 자체로 금기가 되면서 해묘미 삼합과 반대 운동을 한다. 그래서 해수와 묘목을 격각을 하고 미토는 충을 한다. 축토가 들어올 때 전반부에는 이 자수의 흐름과.. 2024. 9. 12.
진(辰)토 3편 진토(辰)의 물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께요. 진토 같은 경우는 진(辰)전에 묘가 있었다. 묘(卯)는 3월, 진(辰)은 4월, 사(巳)는 5월이 들어온다. 봄의 기운의 연장선을 진토라고 생각을 하면 된다. 그러면서 토의 모습을 하고 있으니깐 봄과 여름의 환절기를 뜻한다. 진토는 봄의 연장선으로 봄의 에너지가 굉장히 많이 자리잡고 있으니 묘목과 많이 닮아있는 모습으로 보면 된다. 3월, 4월에 땅 속에 묻혀 있는 것들이 바깥으로 솟아 오르면서 아름답게 펼쳐지고 꽃이 피는 공간으로 식물과 동물과 생물들이 나오는 공간이 된다. 이게 묘목 보다는 진토에서 더욱 더 활동적으로 일어나는 공간이 된다. 3월보다는 4월이 확실히 그러한 형태로 봄의 절정을 지나 절정을 유지하면서 여름으로 넘어가기 위한 상황과 현상이 나.. 2024. 9. 11.
미(未)토 3편 미(未)토는 계절로는 늦여름에 해당을 하고 여름과 가을 사이에 있는 글자가 미토이다. 이 미토는 우리가 알고 있는 토의 역할에 가장 부합되는 그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토다운 토가 된다.  자연의 순환으로 봤을 때,금(金)이라는 씨앗이 수에 의해 목으로 자라나고, 그 목(木)이 화에 의해 성숙되고 죽어서 마무리가 되면 다시 금이라는 씨앗으로 순환의 사이클이 시작되는거다. 그러한 순환의 끝과 새로운 시작의 위치에 있는 토가 바로 미토이다. 그래서 팔자에 미토가 있으면 일단 다른 건 다 제쳐두더라도 단점보다는 장점이 훨씬 더 많이 있다. 더 정확하게 얘기를 하자면 미토는 단점보다는 장점으로 활용이 될 여지가 훨씬 더 많다는 뜻이 된다. 특히나 균형이라는 측면에서 더욱 그렇다.  팔자에 미토가 있.. 2024. 9. 11.
해(亥) - 해수 1편 해(亥)는 음양오행으로 양수(陽土)로 해수(亥水)이라 읽습니다.해수(亥水)는 음양(陰陽)으로 음(陰)에 속하지만, 체용의 변화로 양수(陽水)로 해석합니다.해월(亥月) : 11월에 해당하며, 11월 8일경 ~ 12월 7일경입니다. 절기는 입동(立冬)과  소설(小雪)입니다.해시(亥時) : 21시 30분부터 23시 30분까지입니다.지장간(地藏干) : 여기(餘氣)로 무토(戊土) 7일(23%), 중기(中氣)로 갑목(甲木) 7일(23%), 정기(正氣)로 임수(壬水) 16일(54%)을 사령(司令)합니다. 목국(木局)인 해묘미(亥卯未) 삼합의 생지(生地)입니다.[지장간(地藏干)]천간(天干)은 하늘의 기운으로 순수 에너지 자체를 뜻하여 정순하지만 지지(地支)는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공간과 같은 것으로 만물이 변화하는 공.. 2024. 5. 1.
술(戌) - 술토 1편 술(戌)은 음양오행으로 양토(陽土)로 술토(戌土)이라 읽습니다.술월(戌月) : 10월에 해당하며, 10월 9일경 ~ 11월 8일경입니다. 절기는 한로(寒露)와 상강(霜降)입니다.술시(戌時) : 19시 30분부터 21시 30분까지입니다.지장간(地藏干) : 여기(餘氣)로 신금(辛金) 9일(33%), 중기(中氣)로 정화(丁火) 3일(10%), 정기(正氣)로 무토(戊土) 18일(60%)을 사령(司令)합니다. 화국(火局)인 인오술(寅午戌) 삼합의 고지(庫地)입니다.[지장간(地藏干)]천간(天干)은 하늘의 기운으로 순수 에너지 자체를 뜻하여 정순하지만 지지(地支)는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공간과 같은 것으로 만물이 변화하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시간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지지(地支)의 변화가 만들어지는 근원.. 2024. 5. 1.
유(酉) - 유금 1편 유(酉)는 음양오행으로 음금(陰金)로 유금(酉金)이라 읽습니다.유월(酉月) : 9월에 해당하며, 9월 8일경 ~ 10월 9일경입니다. 절기는 백로(白露)와 추분(秋分)입니다.유시(酉時) : 17시 30분부터 19시 30분까지입니다.지장간(地藏干) : 여기(餘氣)로 경금(庚金) 10일(33%), 정기(正氣)로 신금(辛金) 20일(67%)을 사령(司令)합니다. 금국(金局)인 사유축(巳酉 丑) 삼합의 왕지(旺地)입니다. [지장간(地藏干)]천간(天干)은 하늘의 기운으로 순수 에너지 자체를 뜻하여 정순하지만 지지(地支)는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공간과 같은 것으로 만물이 변화하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시간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지지(地支)의 변화가 만들어지는 근원 속에는 그 시간에 내려온 천간(天干)의 .. 2024.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