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학(활용)/60갑자(일주)

을미(乙未)일주

by 명랑bb 2024. 7. 2.

 

을미일주는 을목(乙木)과 미토(未土)가 결합된 구조를 가진 사주로, 그 특징과 속성을 이해하면 인생 전반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일주는 중년에 내가 맞이하게 되는 운으로 일주만으로 사주 전체를 파악할 수 없는 한계는 분명히 있습니다. 이 부분을 기억하고 아래의 글을 읽어주세요. 이 글에서는 을미일주의 특성을 분석하고 관련된 직업과 적성, 건강, 이성운 등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목차

  1. 을미일주의 기본 특성
  2. 적성
  3. 건강
  4. 이성 및 배우자

 

1. 을미일주의 기본 특성

질적변화를 통한 도약

을미일주는 을목 일간이 미토를 만난 형국입니다. 이를 자연의 순환 과정에 비유해 새롭게 바라보고자 합니다.

 

을목은 봄의 새싹으로 시작하여 왕성한 생명력으로 성장해 왔습니다. 그러다 어느 순간 그 성장이 멈추고, 새로운 변화의 갈림길에 서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을미일주가 보여주는 모습입니다. 을목 일간의 특성을 그대로 이어받아 유연하게 환경에 적응해가는 모습을 보이지만, 이제는 단순한 성장을 넘어 질적 변화를 준비하는 시기에 들어선 것입니다.

 

이는 을목의 근본적인 속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을목은 끊임없는 성장을 추구하지만, 그 궁극적인 목적은 결실을 맺는 것이기에 환경 변화에 따라 자신도 새로운 변화를 준비하게 됩니다. 흔히 을목을 꽃에 비유하지만, 꽃을 피우는 진정한 이유는 열매가 되기 위한 것입니다. 을미는 바로 이 중요한 변화의 시점을 상징합니다.

 

을미일주는 자기 발전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조금 더 한 발 나아가기 위한 노력을 하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열매를 얻기 위해서는 순간적인 판단력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여기서 하나라도 실수를 하게 되면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백호살

을미일주는 백호살을 가지고 있습니다. 흔히 백호살은 호랑이에게 물려 피를 보는 살(殺)이라 하여 흉하다고 여겨져 왔습니다. 하지만 이 백호살의 의미를 다른 관점에서 해석해볼 수 있습니다.

 

우리의 단군신화를 보면, 곰이 동굴에서 100일 동안 마늘과 쑥만 먹으며 인내한 끝에 사람이 되었다고 합니다. 을미일주도 이와 같이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자신만의 고난의 과정을 견뎌내야 합니다.

 

이러한 시련의 과정을 성공적으로 통과하면 큰 성취를 이룰 수 있지만, 실패하면 나무에서 떨어진 꽃처럼 그동안의 노력이 헛되이 될 수 있습니다. 즉, 을미일주의 백호살은 위험성과 함께 큰 도약의 가능성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 것입니다.

 

2. 적성

창의적 문제해결 요구 분야

을목일간은 유연한 사고로 새로운 것을 창조해내는 능력이 있습니다. 따라서 디자인, 예술과 같은 창의성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강점을 드러낼수 있습니다. 미토를 가진 을목일간은 한발 더 나아갑니다. 새로운 것을 탐구해서 발전시키는 능력이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원, 개발자 등 지속적으로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한 단계 더 성장하고 발전을 추구하는 분야에서 탁월한 재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변화 관리 직종

을미는 묘에서 시작한 을목이 미토까지 오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 것을 뜻하기 때문에 나 개인을 넘어 한 조직의 변화와 혁신을 이끄는 역할을 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젝트 매니저처럼 전체적인 큰 그림을 이해하여 추진할 수 있는 일에 적합하므로 컨설턴트, 기획자와 같은 일에 적합합니다. 

 

교육, 상담 분야

을미일주는 표현하고 말하고 언어적으로 봐도 사교성이 좋고 유연한 소통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한 특징을 사회적인 차원에서 조망을 해보면 타인을 이해하고 돕는 분야에서 재능을 살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담사, 교육자, 코칭, 멘토링 등 타인의 성장을 도와줄 수 있는 분야에서 강점으로 작용합니다. 

 

을미일주 자체로는 조열하기 때문에 다른 오행을 필요로 하는 일주입니다. 따라서 조후도 살펴야 하고 자신을 제어하는 관성이나 인성도 필요한 일주입니다. 하지만 을미일주를 한마디로 표현하라고 하면 성공의 씨앗을 품고 있는 일주라고 설명하겠습니다. 

 

 

3. 건강

을미일주는 화의 기운이 강한 일주로 수에 해당하는 장기들, 신장이나 방광, 자궁이 약해지기 쉽습니다. 그 밖에 취약한 부분으로는 스트레스 관련하여 소화기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을미일주는 과도한 생각과 걱정으로 스트레스가 쌓이기 쉬운 일주입니다. 변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부담감을 느끼는 경우 적절한 휴식과 마음 관리가 중요합니다.

 

또한 을미일주는 곡각살이라고 해서 디스크, 관절 쪽으로 빨리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스트레칭을 통한 유연성 관리가 도움이 됩니다. 격렬한 운동보다는 요가, 필라테스와 같이 부드러운 운동이 좋습니다. 

 

4. 이성 및 배우자

을미일주의 이성운이나 배우자 운을 살펴보겠습니다  을미일주 자체적으로 관성이 없습니다. 12운성으로 관성을 살펴보면 경금 정관이 관대지로 있고 신금 편관은 쇠지가 놓이게 됩니다. 을미일주는 12운성적으로 정관이 강하게 득세를 하는 모습으로 이성, 배우자, 사회적 혜택이 그래도 잘 따를 수 있는 일주가 됩니다. 그런데 일단 일주 자체만으로 관성이 보이질 않아서 을미일주의 남자복을 논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일지에 재성이 있고 재성과 관성이 어느정도 세력이 있어서 배우자복이나 물질적인 혜택 보상이 어느정도 따를 수 있는 일주입니다. 

 

을목일간 여자에게는 酉, 辛의 남자보다는 庚, 申의 정관이 천을귀인으로 더 좋게 작용합니다. 일주의 특성으로 더욱 자신의 성장을 지지해 줄 수 있는 파트너를 선호하며, 자신과 가치관이 맞아야 함께 할 수 있다는 생각을 기본으로 하게 됩니다. 따라서 서로의 성장을 돕는 동반자적 관계에 촛점을 두고 이성이나 배우자를 만나는 것을 추천합니다. 

 

 

'명리학(활용) > 60갑자(일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술(戊戌)일주  (1) 2024.07.03
정유(丁酉)일주  (1) 2024.07.02
계사(癸巳)일주  (2) 2024.07.01
기축(己丑)일주  (1) 2024.07.01
병술(丙戌)일주  (1) 2024.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