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 용어19

지장간(地藏干) 지장간이란 지구의 자전으로 밤낮이 생기고 지구의 공전으로 여름과 겨울이 생깁니다. 이러한 밤과 낮의 순환, 여름과 겨울의 순환 사이에서 시간과 공간에 일정한 규칙이 만들어집니다. 12개의 지지(地支)는 음과 양의 순환 속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규칙과도 같습니다. 지지의 종류에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의 12개가 있습니다. 이는 단지 12개의 한자만을 의미하는 문자로서 존재하는 것 이상으로 시간을 나타내는 상태임과 동시에 계절적인 변화를 표시하는 문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子)'라는 시간은 시간의 흐름과 연계된 지상의 변화를 시간 단위로 나누어 표현한 문자 부호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2024. 3. 14.
[오행, 오상] 지(智) 지(智)는 지혜로움을 상징하는데 배움을 통해 나를 이전보다 나은 사람으로 만들고 더 나아가 도덕적으로 자신을 '완성' 하고픈 마음이 담겨 있는 것입니다. 현대의 배움은 출세와 합격을 목표로 배움이 수단화가 되고 있으며 지혜를 얻는 교육보다는 지식을 습득하기에 급급한 교육에 치우쳐 있습니다. ‘지(智)’에서 말하는 배움이란 명예를 얻기 위하여 혹은 지위를 얻기 위하여 또는 생활의 안전을 꾀하기 위한 목적에 앞선 가장 상위레벨의 목적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결국 탄생하고(癸), 성장하고(甲), 확장하고(乙, 丙), 결실을 맺는(庚, 辛) 모든 과정은 수(水)를 향하고 있습니다. 명리학에서 수(水)가 지혜를 뜻하는 이유입니다. 세상이 돌아가는 이치(理治)를 공부하여 전체를 볼 수 있는 통찰력을 기르며 자신의 .. 2024. 3. 13.
[오행,오상] 의(義) 의(義)는 의로운 마음을 비롯하여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부끄러워하며 스스로 경계하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자신이 한 행동을 돌아보며, 혹 잘못한 것은 없는지 미쳐 챙기지 못하여 놓친 것은 없는지 나 스스로에게 엄격한 룰을 적용합니다. 명리학적으로 의(義)는 금(金)을 의미합니다. 사주 안에서 금은 기본적으로 실용성과 경제성을 추구하는 오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을 중심에 두지 않고 결과만을 중요시하며 경제성과 이익만을 추구하게 되는 경우 금(金)은 결과적으로 사람을 잃게 됨으로써 장기간으로 봤을 때 결국 시장이라는 경쟁에서 도태될 가능성을 안게 됩니다. 처음엔 그러한 모습이 드러나지 않아 문제가 없어 보이겠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잘못된 부분은 어떻게든 드러나게 되어 있습니다. 다만 그 시기.. 2024. 3. 13.
[오행, 오상] 신(信) 신(信)은 오행으로 토(土)에 배속이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믿음을 뜻하는 신이 오행에서 토가 하는 역할과 유사성이 있어 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즉 사람의 믿음이 심지로써 굳건하게 자리하고 있어야 '인의예지'가 온전하게 발현됨이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사계절이 성실하게 운행되도록 하는 토는 후덕하고 묵묵한 흙의 형상으로 항상 같은 자리를 지키고 있으면서 나머지 네 개의 목, 화, 금, 수를 아우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토는 믿음과 성실 신용을 바탕으로 질서를 유지하게 하는 근본을 이루고 있어 '조화의 상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 각 계절의 마무리로서 오행 상호 간을 조화로써 '연결'을 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토의 중요 역할이 됩니다. 한 계절이 지나갈 때면 반드시 다음 계절을 이어주는 역할.. 2024. 3. 12.
[오행,오상] 예(禮) 예(禮)는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으로 상대방에게 예의를 갖추는 마음과 나를 낮추는 겸손한 자세가 그 안에 담겨있습니다. 조선시대 향촌에는 양반들의 자치활동을 보장받고 하층민을 통제하기 위한 향촌 사회의 자치규약으로 ‘향약’이 있었습니다. 여기서 특이한 것은 마을의 자치적 규약이었다는 것입니다. 국가의 공권력이 미약하던 시절 향촌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마을 구성원이 자발적으로 약속하고 실천할 수 있는 규약을 만들어 시행하였습니다. 규약의 주요 내용으로는 서로의 신분과 그에 맞는 예의를 규정하고 있었는데 이 규정의 목적은 마을의 질서를 바로잡아 세우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또 이를 어길 시 주어지는 형벌로는 엄격한 법률로 다스리기보다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부끄러움을 느끼도록 규정하.. 2024. 3. 12.
[오행, 오상] 인(仁) 인(仁)은 가장 기본적인 뜻으로는 '어진 마음'이라고 합니다. 즉 다른 사람의 고통을 보면 그를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저절로 우러나오는 것을 뜻합니다. 그리고 그 마음 깊은 곳에는 타인을 사랑하는 마음이 담겨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여 사람이 가지고 있는 혹은 가지고 있어야 하는 기본적인 정서를 뜻하는 것으로 특히 노인이나 어린이와 같이 사회적 약자에 대해 측은히 여기는 마음을 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마음은 인(仁)의 마음을 기본 사상으로 여겼던 '유교'에도 담겨져 있습니다. 하지만, 공자의 탄생으로부터 2500년이란 시간이 흘러오면서 '인'의 마음은 때로는 ‘사람이라면 마땅히 ~~해야 한다’라고 말하며 주입식으로 강요를 하거나, 혹은 강요를 받으면서 사람을 통치하는 수단으로 이용하기도 하였습니.. 2024.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