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 용어19

궁성(宮星) 이론 60갑자 = 12지지(地支) * 5번 순환하는 시스템 12지지(地支)는 작게는 하루 동안에 시(時) 단위로 한번씩 나에게 오는 시공간이 되고, 더 크게는 1년 동안에 월(月)의 단위로 나에게 오는 시공간이 됩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12지지(地支)의 설명을 통하여 각 지지가 가지는 특징을 초급/중급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습니다. 그런데 60갑자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또 다른 규칙성을 찾을 수 있게 됩니다. 천간은 10개, 지지는 12개인 이유로 12년을 주기로 하는 총 다섯 번의 음양 순환을 하면서 60갑자의 시간이 돌아가고 있음을 알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가 환갑이라고 말하는 60살이 될 때까지 총 다섯 번의 지지(地支)의 순환을 맞이하게 되는데 이 또한 중요한 순환의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024. 4. 18.
월률분야(月律分野) 월률분야(月律分野) 월률분야(月律分野)는 월령용사(月令用事)라고도 하며, 지지 하나의 글자를 30일로 본다면 지장간이 작용하는(사령하는) 일수는 정해져 있으며 이를 월률분야(月律分野)라 합니다. 30일을 다시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로 나누어 사령하는 천간을 정하게 됩니다. 아래 표에서 축토(丑)는 계수(癸)가 9일, 신금(辛)이 3일, 기토( 己)가 18일을 사령합니다. 2024. 3. 31.
인원용사(人元用事) 인원용사(人元用事) 사주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월지(月地)를 뺀 나머지 년지(年支), 일지(日支), 시지(時支)에 해당하는 지장간을 '인원용사'라고 합니다. 월지(月地)는 내가 타고난 가장 중요한 지장간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나머지 지장간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하는 견해에 대한 부분이 '인원용사'라는 용어가 탄생한 배경이 됩니다. 인원용사는 월지와 달리 시간과 공간의 흐름이 주도적이지 않으니 여기, 중기, 정기의 비율이 없다는 것이고 따라서 하나의 지지에 내포된 1개에서 혹은 3개의 천간 자체로 보고자 하는 것입니다. 인원용사 지장간은 월률분야의 지장간과 거의 유사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왕지(旺地)를 양간이 없이 음간이 주도한다고 해석하는 것과 해수(亥)의 경우 무토(戊)가.. 2024. 3. 31.
체용(體用)이란? 체용(體用)이란? 중국의 송 ·명학(宋明學)에서 사용되는 철학용어 중 하나입니다. 체(體)는 본체적 존재로 형이상적(形而上的) 세계에 속하고, 용(用)은 그것의 한정적인 작용 및 현상으로 형이하적(形而下的) 세계에 속합니다. 그러나 양자는 표리일체(表裏一體)의 불가분의 관계에 있어 체를 떠나 용이 있을 수 없고 또 용이 없다면 체는 생각할 수 없습니다. 정이(程頤)가 주장하는 우주의 근본으로서의 이(理)와 그 발로(發露)로서의 사상(事象) 그리고 장재(張載)의 태극(太極)과 기(氣) 또 주자(朱子)가 말하는 인간에게 보편적으로 갖추어진 본성(性)과 그것이 외면(外面)에 나타난 정(情)과의 관계 등을 모두 체용의 개념으로 이야기 합니다. 체용(體用)은 '몸 체(體)'와 '쓸 용(用)'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2024. 3. 30.
만세력이란? 만세력(절기력) 명리는 만세력을 사용하며 24 절기를 기반으로 합니다.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공전하는 360도를 24등분 한 것이 바로 24 절기입니다. 한 절기의 기간은 황도를 지구가 15도 움직인 것과 동일한 기간입니다. 현대에 우리들이 사용하고 있는 역법은 그레고리력으로 서기 1582년 교황 그레고리 13세가 도입한 양력의 날짜 결정 시스템입니다. 그레고리력은 기원전 45년 고대 로마 공화국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로마력을 개정한 율리우스력의 오차를 수정한 것입니다. 그레고리력 율리우스력은 지구의 자전을 사람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구의 공전에 대입한 것이기에 당연히 오차가 생길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렇게 지구의 자전을 공전에 대입하고 나면 1 공전은 365.2425... 자전이 됩니다. 딱 맞.. 2024. 3. 24.
명리(命理)의 시간 우리나라의 표준시는 동경 135도를 기준한 시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중심이 되는 위치는 127.5도로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하는 시간과는 30분 느린 시간이 우리에게 맞는 시간이 됩니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시간에 30분을 더한 시간으로 명리의 시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명리학에서 자(子) 시(時)는 밤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의 시간을 의미하지만, '우리나라 명리학'에서는 30분을 더한 밤 11시 30분부터 새벽 1시 30분까지를 자(子) 시(時)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명리학이 자연의 흐름을 중시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최대한 이에 따르고자 하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자연의 흐름에 따라 30분을 더한 시간으로 계산하였을 때 우리나라의 .. 2024.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