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학(이론)/음양 오행

오행 - 토

by bb명랑 2024. 2. 12.

오행(五行) 에서 말한 세 번째 기운으로 '토(土)'의 특성들을 정리하였습니다.

 


토는 일반적으로 '흙'에 비유합니다. 목, 화에 의해 용출, 발산하는 양의 기운을 음의 기운으로 수렴하도록 변화를 중재합니다.

생명 주기에서 '화'를 뜻하며 키워드는 '변화'입니다. 인생에서는 변화기에 속하며 40대 중년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변화기란 인생에서 지난 시절을 갈무리하며 변화하는 시점을 이야기합니다.
'흙'에 비유
화(化) 
변화
변화기

 

토(土)는 중앙에 위치하여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립적이며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포용하고 조절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토()

  • 음양의 중개 역할
    양의 기운인 목화(木火)와 음의 기운인 금수(金水)사이에서 음양을 조절하는 것이 바로 토입니다.
  • 수화(火) 조절기능
    수는 응축의 기운이고 화는 발산의 기운입니다.
    수가 더 이상 응축하지 못하도록 억제하거나 화거 더 이상 발산하지 못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토입니다.
  • 안정성 추구
    토는 안정성이 높은 40대 중년입니다. 
  • 중화의 기운
    토의 기운이 강한 사람은 정세를 살피며 관망하려는 특성이 있습니다. 정말 움직여야 할 때 잘 안 움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 토()와 토()
    서로 무덤덤하여 외관상으로 그 차이를 발견하기 어렵습니다. 고수들이 쉽게 칼을 뽑지 못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다른 이유로는 또 하나의 중앙인 상대에 대한 경외심 때문입니다.
  • '신(信)'
    믿지 못하면 만물을 포용하거나 조절하지 못합니다. 양과 음의 중개하는 역할을 하므로 믿음의 덕목이 있어야 하겠습니다.
  • 토의 역할을 통해 금(金)으로 전환됩니다.
    화(火) 기운은 무한히 발산하려고 하고 이 발산에 제한을 하고 금(金)으로 전환을 시켜주는 것이 토입니다.
    (火)는 나무가 뻗어나가며 나뭇잎과 꽃이 생겨나는 것이고 금(金)은 비로소 열매를 맺히는 것으로 형상화할 수 있습니다.

[명리학/음양(陰陽) 오행(五行)] - 오행 - 목

[명리학/음양(陰陽) 오행(五行)] - 오행 - 화

[명리학/음양(陰陽) 오행(五行)] - 오행 - 토

[명리학/음양(陰陽) 오행(五行)] - 오행 - 금

[명리학/음양(陰陽) 오행(五行)] - 오행 - 수

 

'명리학(이론) > 음양 오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행 - 수  (2) 2024.02.13
오행 - 금  (0) 2024.02.13
오행 - 화  (0) 2024.02.12
오행 - 목  (1) 2024.02.12
오행(五行)  (1) 2024.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