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의 개요
동지는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스물 두 번째 절기로,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24절기의 대설(大雪) 과 소한(小寒) 사이에 있으며 양력 12월 22일경에 있습니다. 고대인들은 이날을 태양이 죽음으로부터 부활하는 날로 생각하여 축제를 벌이고 태양신에 대한 제사를 올렸으며 이러한 전통은 많은 세시풍속을 낳았습니다. 그중에서도 동지에 먹는 팥죽은, 팥이 양색(陽色)인 붉은색을 띠어 음귀를 쫓는 효과가 있다고 믿는 민속신앙으로 발전하여 가정과 관청에서 널리 활용되었습니다.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 때나 재앙이 있을 때에도 팥죽 · 팥떡 · 팥밥을 하는 것은 모두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동짓날 팔죽을 끓여 먹는것은 오늘날에도 여전해서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말을 하기도 합니다. 동짓날에는 동지팥죽을 만들어 먹는 오랜 관습이 있는데,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찹쌀로 ‘새알심’ 을 만들어 넣어 끓입니다. 팥죽을 다 만들면 먼저 사당에 올리고 각 방과 장독 · 헛간 등 집안의 여러 곳에 담아 놓았다가 식은 다음에 식구들이 모여서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중국 주나라에서 동지를 설로 삼는 것도 이 날을 생명력을 주는 태양의 부활 내지는 탄생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입니다. 동짓날에 천지신과 조상의 영을 제사하고 신하들의 조하(朝賀)를 받고 군신의 연례(宴禮)를 받기도 하였습니다.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동짓날을 ‘아세(亞歲)’라 했고, 민간에서는 흔히 ‘작은 설’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또, 동짓날에는 관상감(觀象監)에서 새해의 달력을 만들어 궁에 바치면 나라에서는 ‘ 동문지보(同文之寶)’라는 옥새를 찍어 백관에게 나누어 주었습니다. 각사의 관리들은 서로 달력을 선물하였으며, 이조에서는 지방 수령들에게 표지가 파란 달력을 선사하였습니다. 이처럼 동짓날부터 태양이 점점 오래 머물게 되어 날이 길어지므로 한 해의 시작으로 보고 새 달력을 만들어 가졌던 것입니다.
이러한 여러 전통들은 동지가 태양의 탄생을 뜻하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설 다음 가는 작은 설의 대접을 받은 것임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동지에는 음의 기운이 극에 달하여 하나의 양기가 돌아오는 절기로 마치 짙은 어둠 속에서 미약하게나마 하나의 빛이 그 어둠을 뚫고 나오기 시작하는 모습과 같습니다. 따라서 하늘의 봄은 동지부터 시작한다고 이야기합니다. 동지(冬至)는 12지지로 '자(子)'의 때(時)에 속하며 반대로 '오(午)'의 시간 때에는 하지(夏至)라고 하여 양의 기운이 충만한 가운데 하나의 음기가 돌아오는 절기라고 이야기 합니다.
"동지"의 키워드
- 동지는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 고대인들은 이날을 생명력을 주는 태양의 부활 내지는 탄생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 예로부터 동지를 한 해의 시작으로 보는 풍습들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 즉, 하늘의 봄은 동지부터 시작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참고문헌>
"절기서당" 김동철, 송혜경
한국민속대백과사전